병원 개원 필수 구매 체크리스트 및 적정예산(무료 자료 제공)

처음 하는 일이 늘 어렵듯 병원 개원은 매우 특별하고 복잡한 과정입니다. 개원을 앞두고 계시다면 병원 입지, 직원관리, 자금 조달, 병원 홍보, 인테리어 등 다양한 영역에서 고민이 필요하죠. 오늘은 병원 개원을 위해 꼭 미리 고민해야할 내용들을 정리해봤습니다.

병원 개원 필수 구매 체크리스트 및 적정예산(무료 자료 제공)
Photo by Sasun Bughdaryan / Unsplash

병원 개원 준비.. 참 어렵죠?

병원 개원은 의료 분야에서 큰 꿈과 비전을 실현하는 과정이지만, 그 어려움에 대한 고민은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을 개설하는 것은 복잡한 절차와 다양한 과제를 동반하며, 그 어려움을 해결하고 성공적으로 개원하기 위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이 콘텐츠는 예비 병원장과 현직 의사들을 위해 병원 개원 과정에서 마주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합니다.

📑
개원 준비, 이 자료 하나면 끝?
콘텐츠가 끝나는 부분에 <마포구 C한의원>이 실제 개원을 진행한 86종 상품 구매 리스트 자료를 마련해놨습니다. 놓치지 마세요! :)


병원 개원 준비 시 필수 체크 항목 5가지

Wide view image of blank black spiral note pad and white marker with calligraphic inscription plan on yellow background
Photo by Volodymyr Hryshchenko / Unsplash
📌
이것만은 꼭 체크하세요!
 1. 의료 인프라와 시설 준비
 2. 의료 기록 및 시스템 구축
 3. 인허가 및 규정 준수
 4. 의료 인력 채용과 팀 구성
 5. 초기 홍보 및 마케팅 전략

1. 의료 인프라와 시설 준비

Ward
Photo by Adhy Savala / Unsplash

병원 개원 시, 의료 인프라와 시설은 최우선 고려사항입니다. 의료 기기와 장비의 선별, 검수, 설치 등을 철저히 준비해야 하죠. 환자 진료와 치료에 필요한 최신 장비의 보유 여부는 의료 서비스의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이기도 합니다.

또한 병원은 치료공간 뿐만 아니라, 대기중인 환자의 편의와 안전을 고려한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접근성, 외부 자극이 취약한 환자를 위한 소독 및 위생 관리 시설 등을 완벽하게 준비하여 환자들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 시설 구축 및 의료 기기 확보는 설계, 공사, 설비 구매 등의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최소 4~6개월 이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의료 기록 및 시스템 구축


환자의 의료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전자 의료 기록 시스템(EMR)을 효과적으로 도입하여 환자의 진료 정보와 치료 이력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치료 과정을 신속하게 파악 가능하고 환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이란?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이란 병원에 내방한 환자에 대한 진료기록을 기존 종이에 기록하던 것을 컴퓨터를 이용해 전자적 형태의 의무기록을 의미합니다.

3. 인허가 및 규정 준수

Photo by Tingey Injury Law Firm / Unsplash

모든 병원은 공중 보건 및 의료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정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필요한 인허가 및 라이선스를 획득해야 하는데요. 시설 및 운영에 대한 각종 검사와 인증이 필요합니다. 많은 병원장분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으로, 되도록 여유로운 기간을 두고 전문가와 함께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허가 절차는 지역과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요. 병원 운영을 위한 필수 서류를 준비하고 제출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될수 있기 때문에 대체로 3~6개월 이상의 시간을 잡아야 합니다.

4. 의료 인력 확보와 팀 구성

Cancer Surgeons
Photo by National Cancer Institute / Unsplash

개원 시, 의료 전문가들의 충분한 확보와 팀 구성이 필수적입니다. 병원을 찾는 고객분들께 가장 중요한 것은 의료 서비스이고, 이는 모두 사람이 하는 일입니다. 때문에 인력 채용이 가장 중요하죠. 또한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분담하여 효율적인 진료와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팀을 구성해야 합니다.

팀원들과의 원활한 협력과 의사소통은 환자 치료와 병원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치며, 전문 의료 서비스와 더불어, 신뢰를 줄 수 있는 친절함까지 겸비될 때,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모집은 빠르게 진행될 수록 좋지만, 퀄리티 높은 팀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또 의료진을 모집하고나면, 하나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훈련 및 문화 조성에도 시간을 투여해야 합니다.


5. 홍보와 마케팅 전략

병원 개원 후, 환자 유치와 병원 인지도 확보를 위한 홍보와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병원의 서비스, 전문성, 강점을 홍보하고 환자들의 관심을 끌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초기 예약 및 환자 유입을 촉진하고, 병원의 성장과 지속적인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마케팅의 실패는 곧 인지도의 실패로 이어집니다. 환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습니다. 초기 예약이 적으면 수익이 예상보다 부족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병원 성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병원 개원 전 3~6개월 이전부터 마케팅 활동을 시작하여 시설 인지도를 높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성공적인 병원 개원을 위해서는..

병원을 개원하는 것은 다른 산업의 비즈니스보다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또, 처음 접하는 일이다보니 실수도 많죠. 허나, 작은 실수라도 큰 손실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때문에 많은 예비 병원장분들이 개원할 때 정보를 찾아 보거나, 개원 전문 대행사를 찾곤 하죠.

이럴때 개원 시 필요 작업들과 서비스, 품목들을 하나의 체크리스트에 모아 정리해두는 것은 손실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절차상 필요 시기에 꼭 해야되는 일들이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병원 개원을 고민하시는 예비병원장분들을 위해 개원 필수 자료를 공유드리려고 해요. 바로 지난 8월 저희 업무마켓9을 통해 성공적인 개원을 마친 <마포구 소재 C한의원>의 구매 품목 리스트 입니다. 해당 리스트를 통해 개원 준비에 필요한 구매 품목들, 또 구매를 해야하는 시점 등에 대한 내용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실제 사례)
개원 준비 86종 상품 구매 리스트 무료 다운로드

📌
<병원 개원 준비 AtoZ 상품 구매 리스트> 자료 요약
- 개원 준비를 위한 86종의 구매 품목 리스트
- 각 구매를 진행해야 하는 시기
- C한의원이 개원 준비에 들어간 총 비용

병원 개원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신가요?

병원 개원의 A to Z를 한 곳에서 진행하는 업무마켓9과 함께해보세요.

업무마켓9 메디컬 더 알아 보기